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공부

장내채권, 장외채권, ETF채권 차이 정리

 

title

채권의 가장 큰 장점은 만기까지  보유하면 원금은 보장되고 +로 이자가 지급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기준금리가 하락하여 채권의 가격이 상승한다면, 주식처럼 매도를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장내채권, 장외채권 및 ETF 투자가 무엇이 다른 지와, 채권을 매수하고 나면 현금흐름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장내채권, 장외채권의 차이

장내채권과 장외채권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장내채권은 개인들이 사고 파는 시장입니다. 그래서 소규모 물량도 많고, 호가 물량이 너무 적어서 거래가 안 되는 물량도 많습니다. 따라서 매수하는 종목의 호가를 일일이 확인해봐야 합니다.

 

반대로 장외채권은 증권사가 매입 후 다시 개인에게 매도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대량 매수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같은 채권이라도 장내채권에 비해서 이자율이 낮은 경우가 많으며, 각 증권사마다 제시하는 이자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삼성증권 장외채권에서 A라는 채권을 3.5%에 팔고 있지만,

키움증권 장외채권에서 A라는 채권은 3.2%에 파는 등

같은 채권이라도 다른 이자율을 보여줍니다.

이런 이유는 각 증권사마다 판매하는 채권에 증권사 마진율도 같이 포함시켜서 그렇습니다.

 

따라서 장외채권으로 투자를 한다면, 여러 증권사 계좌를 개설하여 각 증권사에서 채권 이자율을 비교해보고 매수를 해야 합니다.

 

 

개별 채권과 채권 ETF의 차이

위에서 설명드린 대로, 장외 또는 장내채권에서 매수하는 것은 개별 채권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국가에서 발행한 국채를 샀다면  만기가 정해져 있겠죠.?

그리고, 수익 이자율도 정해져서 만기까지의 현금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채권 ETF는 만기가 없습니다.

10년 물 국채라고 한다면 만기 기간이 없는 롤오버 방식으로 계속 갱신됩니다.

이자는 나오냐고요.? 이자가 나오는 ETF도 있고, 안 나오는 ETF도 있습니다.

ETF 이름앞에 선물이라고 붙은 것들은 이자가 나오지 않고, 나오지 않는 이자는 채권 가격에 반영되는 구조입니다.

 

그렇다면 이자를 주지않는 채권 ETF는 왜 투자할까요?

만기가 정해져 있지 않고, 이자도 안주면 주식이랑 별반 다를 게 없는데요.?

 

채권 ETF의 장점은 매수/매도하기 용이(시장에서 유동성이 좋아 사고팔기 좋음) 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식과 채권은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입니다. 이 부분에 집중해서 이자를 고려하지 않더라도 자산분배 측면을 고려하여 ETF를 매수해놓는 것입니다.

 

 

현금흐름 확인방법

채권투자의 가장 큰 이점은, 투자 시점부터 내가 받는 현금이 계산된다는 것입니다.

이자로 지급되는 현금은 재투자를 할 수 있고,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금흐름을 확인하는 방법은 증권사 HTS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아래의 화면을 참고해주세요,

 

예시로 들HTS는 KB HTS 이며,  채권은 서울특별시 채권 2021-03 채권입니다.

지방채 채권이고, 이표채이며, 만기일은 23년 5월 14일입니다. 이자 주기는 6개월 단위인 이표채입니다.

 

KB증권 HTS에서는 구간별 상세정보를 클릭하면 앞으로 받을 현금흐름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서울특별시 채권을 천만원 투자로 예상했을 때 현금흐름 내역입니다.

 

KB증권에서는 구간별 상세정보이지만 각 증권사마다 가상 투자 시나리오, 상세정보 등 비슷한 뜻으로 같은 기능을 구성해 놨으니, 투자하실 땐 꼭 확인하셔서 현금흐름을 계산해보시길 바랍니다.

 

KB증권 채권가상매매화면
KB증권 채권 상세정보화면

 

위와 같이 내가 받을 현금흐름을 미리 계산해놓고 어떻게 투자해야 하지 라는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채권은 만기까지 가지고 간다는 생각이면 투자자에게 유리한 구조입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드린 대로, 채권의 가장 큰 장점은 확정된 현금흐름이 창출된다는 것인데, 투자금이 크다면 창출되는 현금도 엄청날 것입니다. 이것을 다시 재투자하는 계획을 가질 수 있습니다.

 

 

"채권은 안전자산이다."라는 말은 부도가 나지 않을 회사의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하는 전략일 경우에만 맞는 말입니다. 

채권 생소하고 어렵다고 느껴질 수 있지만, 조금만 공부하면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채권투자 시 꼭 확인해야 하는 재무제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채권투자방법(장외,장내채권,매입전 확인사항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채권을 투자하려고 할 때 참고해야 되는 것들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이 하락한다.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이 상승한다. 그러면 우리는

ns.kdandelion.com

 

 

 

 

 

반응형